일본의 ‘두 얼굴’이 또 다시 드러났다. 일본의 대기업 미쓰비시(三菱)머티리얼이 19일 세계 2차 대전 중 포로가 됐던 한 미국인에게 전쟁 중 미군포로들에게 강제노동을 시킨 데 대해 사과했다. 이것은 2차 대전 종전 70주년을 맞아 일본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포로의 강제징용을 사과한 것이다. 

이날 로스앤젤레스에 소재한 유태인 인권단체 '시몬 비젠탈 센터'의 관용박물관에서 산타마리아에 거주하는 제임스 머피는 미국과 일본 국기 앞에서 미쓰비시 머티리얼 중역진들로부터 사과를 받았다. 일본 정부는 2009년과 2010년에 미군 포로에 대해 사과를 한 바 있으나 이들을 광산이나 공장에서 노예처럼 부렸던 일본 기업들은 사죄를 한 적이 없다. 일단 강제 징용자에 대한 일본의 사과가 있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일본은 ‘이중 잣대’를 들이대고 비양심적 행동을 하고 있다. 강대국 미국에는 굽실대면서 한국과 동남아제국 등 2차 대전 중 제일 큰 피해를 입은 국가에는 사과를 하지 않고 있다. 아예 정반대의 역사 날조에 혈안이다.

예컨대 한민족의 피해 사례를 보자. 일본은 1938년 4월 국가총동원법을 발동했다. 일본 후생생 자료와 조선상공회의소에서 간행한 ‘조선경제 통계요람’ 등에 따르면 1939~1945년 일본에 징용된 한국인은 100여만명, 한반도 내 강제 징용 450여만명, 군인·군속 37만여명 등 합계 600여만명이 징용당해서 노역을 했다. 실상이 이러한데도 일본 정부는 배상은커녕 사과조차 하지 않고 있다. 과거 조선인 노동자들에 대한 강제노역을 부인하는 데서 더 나아가 국제사회에 자신들의 ‘정당성’을 설명할 방침이라고 하니 할 말을 잃게 한다. 최근 독일 유네스코 회의에서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인정하고도 금방 말을 바꾸고 있는 것이다. 

잠시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던 한·일 관계가 이로 인해 다시 경색되는 분위기다. 일본의 위안부 강제 동원 및 징용·징병자 배상 등 진솔한 과거사 반성의 토대 위에서 한·일 협력의 새 시대를 열기를 바란다.[서울뉴스통신]

키워드
#N
저작권자 © 강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