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 주변은 최첨단을 과시하는 초고층 아파트와 멋진 디자인을 뽐내 는 주택과 빌라 등 세련되고 호화로운 도시에 살고 있다.

하지만 1970년대에는 경제의 빠른 성장과 함께 현대화와 미관상의 이유로 소이 달동네란 곳들이 하나 둘 씩 강제 철거되기 시작했다. 달동네는 하늘의 달과 가깝다는 뜻으로 도심이 아닌 변두리 끝의 꼭대기를 말한다. 그곳에 사는 서민들은 하루아침에 삶과 희망을 잃고 보따리를 싸서 뿔뿔이 흩어져야만 했다. 그 시절 그들에게 보따리는 간단한 세간살이들을 싸고 푸는 삶의 애환과 현실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것이다.

작가 박용일은 서민들의 아픔이 깃든 추억 속, 삶의 풍경을 보따리에 담고 있다. 재개발되는 현장의 풍경과 변두리의 오래된 집들, 낡은 담벼락을 통해 많은 사람의 사연과 애환을 정겹게 그리고 있다. 또한 작가는 이사의 실제 경험을 통해, 이삿짐을 싸고 푸는 데서 오는 삶에 담긴 소소한 정경에서 보따리에 대한 착상을 얻었다고 한다.

이번 전시 ‘He-story’ 작품 시리즈는 역사(History)의 뜻을 포함한 이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시대적인 사회변화를 통해 이어져가는 사실에 대한 기록을 나타내는 것과 작가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그이기도 그녀이기도 한 모든 사람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화면을 가득 메우고 있는 커다란 보따리작품은 부드러운 보자기에 투영된 냉철한 사회의 모습이 오버랩되어 씁쓸하게 전해진다. 하지만 또 다른 3개의 크고 작은 보따리 작품에서는 왠지 꿈과 희망을 기대해봄 직한 느낌이다. 유화를 마치 수채화처럼 부드럽고 맑게 표현한 점과 무심한 듯 단순하게 처리된 것 같지만 매우 정교한 붓 터치는 독특한 재미와 함께 정겨움을 느낄 수 있다. 이렇듯 박용인의 보따리는 소소한 그의 이야기와 더불어 사람들의 인생사를 담고 있는 것으로 귀중한 마음과 정을 감싸고 있는 것 같다.

보따리는 큰 욕심을 내지 않는다. 너무 적으면 허전하고, 너무 많이 넣으면 터져 나오고 무거워 들 수가 없다. 딱 적당히 넣고 묶어야 보기 좋은 것처럼 우리의 인생과 꿈 역시 알맞게 보따리에 넣어 두자. 다른 누군가에게 희망으로 가져갈 수 있게 말이다.

이애리 미술학박사/협성대초빙교수
 

키워드
#N
저작권자 © 강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